‘인민 루니라고도 불리는’ 정대세 선수는 우리 나라사람들에게 친숙한 사람입니다.
먼저 그의 이력을 살펴보면
정대세 선수는 독일1부리그에도 진출한 꽤나 성공한 축구선수이고,
북한을 55년 만에 월드컵 본선에 올려놓는데 큰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특히 남아공 월드컵에서 위에 있는 사진과 같이 북한 국가가 나올때에 눈물을 흘리는 장면이 찍혀 외신들의 주목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정대세 선수는 인터뷰에서 “큰 대회에서 뛰게 되어 감격스러워 울었다”고 했지만 이때 언론들은 남한과 북한의 분단현실에 집중하며 전세계에 평화를 염원하는 눈물로 알려지곤 했습니다.
그리고 정대세 선수는수원삼성에서도 뛰게 되었고 우리나라 에서 다수의 예능과 다수의 CF촬영을 찍으며 우리나라 대중에게 많이 알려지고 친숙한 사람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정대세 선수의 국적이 궁금하셨다거나 아니면
다른 북한선수와는 뭔가 다른것같다고 느끼신적은 없으신가요?
이제 정대세 선수의 국적과 정체성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정대세 선수는 재일교포 2세인 ‘한국국적’의 아버지와 ‘조선국적’의 어머니 사이에서 일본에서 태어난 재일교포 3세입니다. 일본은 가부장제 사회이기 때문에 정대세선수는 ‘한국국적’을 가지게 됩니다. 그런데 다들 아시는 것처럼 정대세선수는 북한 국가대표 선수였습니다. 왜일까요?
당시에 재일교포 사람들은 자식을 일본학교에 보낼지 북한에서 재일교포를 위해 세운 조선총연합회, 짧게 말해 조총련에 속해있는 학교를 보낼지 많이 고민했다고 합니다. 당시 일본에 재일대한민국민단이라는 조총련같은 연합이 있긴했으나 이승만 정부가 재일교포에게 무관심하면서 재일대한민단 소속 학교는 거의 없었다고 하네요. 있더라도 학비가 많이 비쌌다고 합니다. 정대세 선수의 부모님 또한 이 때문에 많이 고민했다고 했습니다. 결국 정대세 선수는 부모님의 의사로 100퍼센트 한국어로 교육을 받는 조총련에 속해있는 소학교에서부터 대학교까지 졸업을 하게 됩니다. 학교에서 그는 조선에 대한 자부심이 생겨 어릴 때부터 북한 국가대표가 되는 것을 꿈꾸게 됩니다. 하지만 국적이 ‘한국국적’이였기 때문에 북한국가대표가 되는 데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그렇지만 정대세 선수는 포기하지 않고 FIFA에 자필로 청원서를 써서 재일교포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FIFA주관 대회에서는 이중국적을 허용 결국 북한국가대표가 됩니다.
그런데 정대세 선수는 북한 사상을 갖고있는데 한국에서 여러 가지 활동들을 합니다. 이에 대해 논란도 많았는데요. 먼저 한 다큐멘터리에서 “김정일을 정말로 존경한다” 고 말해 국가보안법과 관련된 고발을 당해 검찰 조사를 받은 적이 있습니다.
또한 인터뷰할 때 국적에 대해 물어보면 “나의 조국은 단 0.1초의 고민도 없이 조선이다” 라고 말합니다. 이러한 사상 때문에 ‘빨갱이’라고 불리기도 하고 추방하라는 식으로 욕을 먹기도 했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정대세선수를 옹호하는 의견들이 많아 큰 문제 없이 최근에도 우리나라 TV예능이나 CF에 나오고 있습니다. 이유는 재일교포의 특수성에 대해 이해해주고 있는 사회분위기와 점점 다문화 사회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는데요. 재일교포인들 중 많은 사람들은 정체성과 관련해서 어려움이나 혼란을 갖습니다. 정대세 선수만 하더라도 태어난 곳은 일본, 국적은 한국, 교육받은 사상은 북한입니다. 때문에 아까 전 정대세 선수가 검찰에서 조사를 받았다고 했는데 검찰에서도 “정대세 선수의 언행이 한국을 위협하려고 했다고 볼 증거가 부족하며 특히 그가 재일교포라는 특수성과 교육환경을 고려했다” 고 말하며 무혐의 처분을 합니다. 이 예시이외에도 사회에서 재일교포의 특수성을 점점 감안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점점 다문화 사회로 바뀌고 있는 사회 분위기 때문에 북한사상을 갖고있더라도 다른나라에서 온 이주민들처럼 단지 자라온 환경, 문화, 교육이 다를 뿐이지 북한사상을 교육받은 사람이라고 해서 무조건 적으로 배척하지는 않고 있음을 조사하면서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줏대있게 자신의 사상을 지키고있는 모습도 영향을 끼친듯 합니다.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KBO 프로야구 개막일 일정 (0) | 2021.01.09 |
---|---|
손흥민, 레알 마드리드 이적설 관련 해외언론 내용 정리. 이번엔 진짜 갈까? (0) | 2021.01.09 |
카라바오컵 결승 일정 (토트넘 vs 맨시티 , 손흥민 첫 우승 도전) (0) | 2021.01.07 |
카라바오컵대회는 무슨대회일까? (EFL 컵대회) (0) | 2021.01.06 |
포체티노 PSG행 , 전 토트넘 감독 프랑스 진출 , 투헬 경질 (0) | 2020.12.25 |